본회 공식명칭관련 안내문 입니다.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총동문회 활동

본회 공식명칭관련 안내문 입니다. > 공지사항
공지사항

본회 공식명칭관련 안내문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5-10-14 10:42 조회11,738회 댓글0건

본문

본회/지회/동기회/동문 관련 공식 명칭

□ 본회 명칭
  ▷ 본  회 
      - 공식명칭 : ‘해병대사관총동문회’
      - 약칭: ‘해병대청룡회’
  ▷ 지  회
      - 공식명칭 : ‘해병대사관총동문회 00지회’
      - 약칭 : 약칭 00지회 또는 고유명칭 
  ▷ 동기회
      - 공식명칭 : ‘해병대사관 제000기 동기회’
      - 약칭 : 000기 동기회
  ▷ 동  문
      - 공식명칭 : ‘해병대사관 제000기 아무개’
      - 약칭 : 사관000기 아무개

□ 공식명칭은 국방부, 해병대사령부 등 군관련 기관/단체에 공지되어 사용중인 바, 일체의 대내외   
    공식  표기(동기회기 포함)는 약칭이 아닌 ‘공식명칭’을 사용.

□ 관련근거 : ‘2010년 정기총회 의결사항중 ’정관 일부개정’.

□ 경과설명
  ○ 2009년 현재 해병대사관후보생출신 장교단체는 ‘해병학교총동창회(1기~29기)와 해병대청룡회
      (30기 이후)로 양분되어 활동중인 바, 해병대사관후보생출신 해병대장교의 정체성 확립차원에서
      통합 필요성이 제기.
  ○ 이에따라 양단체간 수차에 걸친 협의를 통해 무조건적인 통합에 의견을 같이하고, 해병대사관
      후보생출신 해병대장교의 위상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대표할 수 있는 공식명칭을 제정.사용하되,
      일체 실무는 해병대청룡회에서 진행하고, 해병학교총동창회는 결과에 동의하기로 함.
  ○ 해병대청룡회는 테스크포스팀을 구성, 통합에 따른 로드맵 등 제반준비사항을 점검하는 한편,
      각 기수별 동기회에 공식명칭(안)들에 대한 의견수렴작업을 진행하여 본회를 대표할 수 있는
      다수의 공식명칭(안)들을 정리, 정기이사회 안건으로 제출함.
  ○ 2010년 본회 정기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 본회 관련 공식명칭을 본회는 ‘해병대사관총동문회’,
      동기회는 ‘해병대사관 제000기 동기회’ 등으로 제정을 만장일치로 의결함.
  ○ 이후 본회는 공식명칭 제정에 따른 후속작업으로 각 기수별 동기회에 통지하는 한편, 국방부
        및 해병대사령부를 비롯한 군관련 유관단체에 신규제정된 공식명칭을 통지하여 등재완료함.

□ 명칭별 배경설명

  ○ 본회 명칭
      ▷ 창설초기 육군 간부후보생 갑종출신으로 해병대장교로 임관한 1기부터 6기를 제외한 총원
          이  ‘해병대사관후보생’(부득이하게 해군통합에 따라 해군사관후보생으로 지원한 상륙 또는
          해병병과 포함)으로 모집하였음.
      ▷ 단체의 공식명칭은 해당 단체의 출신 및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대표성을 띤 명칭사용이
          원칙인 바, 본회를 대표하는 명칭은 ‘해병대사관’이므로 이를 공식명칭으로 사용을 의결함.
          (예, 해군사관학교총동창회, ROTC중앙회, 육군학사장교총동창회 등)
      ▷ 이에따라 대내외 공식명칭은 ‘해병대사관총동문회’를 사용하며, 약칭인 ‘해병대청룡회’는 
          대내외 공식명칭이 아닌 경우에 사용을 의결. 

  ○ 동기회 명칭
      ▷ 동기회 명칭은 동기회가 소속된 단체의 공식명칭과 출신을 대표할 수 있는 명칭사용이  원칙
          이며,  따라서 ‘해병대사관 제000기 동기회’를 공식명칭으로 사용을 의결.
      ▷ ‘해병대장교’라는 용어는 출신과 기수에 관계없이 해병대장교로 임관한 자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고유명사이므로 본회 동기회 명칭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더더욱 해병대의 자랑이자
          전통인 기수체계를 붕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사용이 불가함.
      ▷ 예를 들어 동기회 명칭으로 해병대장교 5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5기(1951년 임관)와 30년
          차이가 나는 해2사5기(1981년 임관)가 같은 기수가 되며, 마찬가지로 66기(1981년 임관)와
          해사66기(2012년 임관) 두 기수가 해병대장교66기로 표기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

  ○ 동문 명칭
      ▷ 국군창설초기 전군 공히 간부후보생제도를 운영하였으며, 이중 ‘갑종간부후보생’은 장교,
          ‘을종 간부후보생’은 하사관(현, 부사관)으로 각각 임관하였음.
      ▷ 군체제가 정비되면서 간부라 함은 하사관과 장교를 총칭하기에 간부후보생이란 용어는
          장교와 하사관을 구분할 수 없고 따라서 장교와 하사관 양성교육 분리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명칭도 사관후보생(OCS)과 하사관후보생으로 변경되어 전군에 시행되었으며, 간부후보생
          이란 용어는 퇴출되었음.
      ▷ 본회도 이와같은 시대상황으로 창설초기 1기부터 6기까지는 육군 갑종간부후보생출신으로
          충원되었으나 7기 부터는 총원이 ‘해병대사관후보생’(해군통합에 따라 부득이하게 해군사
          관후보생으로 지원한 상륙 또는 해병병과 포함)으로 모집하였음.
        (현재는 해병대사령부에서 ‘해병대사관후보생’명칭을 복원하여 공식명칭으로 모집중)
      ▷ 타군에서는 퇴출된 간부후보생이란 용어를 해병대는 명확한 이유없이 공공연하게 사용
          되어오다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 및 해군통합 이후 해군에서 해간이란 용어를 공식화했
          으며,  이로인해 해간이란 명칭이 사용되어지다 현재는 본회의 지속적인 자기비하적인
          용어퇴출과 사관후보생출신 명칭으로의 개정 요구에 따라 사령부에서 절충안인 ‘사후’란
          용어를 공식명칭으로 사용중임.
      ▷ 그러나 본회는 해군사관학교나 해2사관학교생도로 입교후 해병대장교를 지원한 해사출신,
          학군단후보생(제주대, 해양대 등 MROTC포함)출신으로 해병대장교로 임관한 장교들과
          달리 본회 출신 장교들은 총원 ‘해병대사관후보생’으로 입교했으므로 ‘해병대사관’이란
          명칭 부여와 함께 해군통합이후 빼앗긴 해병대사관후보생출신 해병대장교 기수로의 환원을
          요청하고 있음.
        (현재는 해군통합기수를 사용하는 관계로 해병대사관후보생 115기는 해군통합 기수이고
          해병대기수로는 105기가 되는 등 10개 기수가 차이남)
      ▷ 따라서 해병대사관후보생출신 해병대장교의 정체성 확립과 위상제고를 위하여 ‘해병대
          사관’을 공식명칭으로 사용하기로 의결.

  ○ 지회 명칭
    ▷ 지회는 대내외 공식명칭을 ‘해병대사관총동문회 00지회’로 하고, 약칭으로 ‘00지회’ 라 하되,
          해당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약칭의 경우는 예전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함.

  ○ 동기회 회기/조기
    ▷ 회기 : 중앙(본회 방패형 심볼)/하단(해병대사관 제000기 동기회)
    ▷ 조기 : 상단(근조/한문), 중앙(본회 방패형 심볼), 하단(해병대사관 제000기 동기회/한글)
    ※ 본회 원형 심볼은 회기/조기 외의 차량용스티카 등 기타 용도로 사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동문회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해병대사관총동문회 l 회장 : 하태수 l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배승진
02885)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 78(안암동5가, 백두산빌딩 5층)
Tel : 02-924-3303 l Fax : 0504-009-9012 l 메일: webmaster@marinesocs.kr